논문 읽어주는 약사 콘드로이친황산, 골관절염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1.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 기능 개선 2. 골관절염 환자의 관절 붓기 개선 3. 골관절염 환자의 운동 능력 개선 |
안녕하세요. 약사 Jinny입니다. 관절 건강과 관련하여 현 시점 국내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성분을 꼽으라면 단연 '콘드로이친'입니다. 콘드로이친은 피부·연골 등의 조직을 구성하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으로, 콘드로이친을 구성하는 당 중 하나가 황산 에스테르가 된 것을 황산콘드로이친, 또는 콘드로이친황산(chondroitin sulfate; CS)이라고 일컫습니다. 이러한 콘드로이친황산은 관절과 연골 등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로서 관절·연골에 영양을 공급하며 연골 분해 효소를 억제하고 새로운 연골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류마티스학회 유럽연합(EULAR)에서는 2003년에 이미 무릎 골관절염 치료를 위해 콘드로이친황산을 섭취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한 바 있죠 [2]. 이에 따라 한국 식약처에서도 콘드로이친황산을 함유한 일부 원료에 대해 관절 및 연골 건강 기능성을 인정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인 원료로는 콘드로이친황산과 단백질을 함께 함유한 '뮤코다당·단백'이 있습니다. 그럼 이제 콘드로이친황산을 섭취했을 때 과연 어떤 이점이 있길래, 골관절염의 치료 보조제로서 권장되고 또 식약처에서 기능성을 인정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1.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 기능 개선
퇴행성 관절 질환,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리는 골관절염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관절의 염증성 질환입니다. 관절을 이루는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관절막, 주변 인대 중에 이차적 손상이 일어나 통증과 변형,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죠 [3].
특별한 원인 없이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하며, 65세 이상에서는 60 % 이상에서 발병하며, 무릎 · 손 · 엉덩이 관절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은 관절 부위의 통증으로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처럼 흔히 발생하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골관절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확실한 약물은 부재하는 실정이죠 [4].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다양한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으며, 콘드로이친황산은 골관절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분으로 폭넓게 연구되어왔습니다. 2019년 Honvo와 연구자들은 콘드로이친황산의 섭취가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총 3,791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18개의 연구를 종합 검토했는데요. 이 연구에서는 골관절염의 관리에 있어 콘드로이친황산의 섭취가 위약보다 우수하며 통증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5]. |
"콘드로이친황산의 3개월 및 12개월 섭취는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과 기능 상태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와의 병용투여시에도 이점은 유지되었다. 하지만 콘드로이친황산 단독사용시에 보다 큰 효과가 나타났으며, 통증 개선에 대한 콘드로이친황산의 이점은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것보다 강력할 수 있다." 2. 골관절염 환자의 관절 붓기 개선
앞서 골관절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확실한 약물이 부재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관절염으로 처방받은 의약품을 복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텐데요. 대부분은 골관절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을 줄이고 염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의약품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가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의약품을 장기적으로 복용할 때의 부담이 존재하죠.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골관절염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성분들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와 비교하는 시험을 설계하고는 합니다. 이러한 연구중에서 상당히 대규모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연구가 GAIT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1,583명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황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인 셀레콕시브의 영향을 평가했는데요.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관절 부종이 있었던 환자 중 콘드로이친황산 섭취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부종의 유의한 개선이 나타났음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6].
|
"콘드로이친황산 섭취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관절 부종의 개선이 나타났다. 탐색적 사후 분석 결과, 비교적 초기 환자일수록 콘드로이친황산 섭취의 이점을 얻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3. 골관절염 환자의 운동 능력 개선
골관절염의 주요 증상은 관절 부위의 국소적인 통증입니다만, 이외에도 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 붓기 등이 있습니다. 또 연골의 소실과 변성에 의해 관절면이 불규칙해지면 관절을 움직일 때 마찰음이 느껴질 수도 있죠. 또 근육의 위축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근육 강화와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은 관절 부하를 감소시키는 데 중요합니다.
하지만 골관절염 증상에 따라 운동이 점점 어려워지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골관절염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분을 평가할 때에는 운동능력의 개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도 중요한 변인으로 포함됩니다. 골관절염에 도움이 될 수 잇는 성분으로서 콘드로이친황산 역시 골관절염 환자의 운동능력에 미칠 수 있는 이점에 대한 영향 평가가 이루어진 바 있습니다. 무릎 골관절염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콘드로이친황산 섭취의 영향을 평가한 Uebelhart와 연구자들(1998)은 콘드로이친황산의 섭취에 따른 전반적인 운동 능력의 개선이 나타났음을 보고한 바 있습니다 [7].
|
"이 연구에서는 콘드로이친황산이 내약성이 우수하고 통증을 크게 개선하며 전반적인 운동 능력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했다. … 이러한 결과는 콘드로이친황산의 섭취가 무릎 골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느리게 작용하는 성분임을 의미한다." 오늘은 관절 건강 성분으로 주목받고 있는 콘드로이친의 유효성분인 콘드로이친황산에 대한 학계의 연구 결과를 살펴봤습니다.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상당히 장기간 폭넓게 시험되어왔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일관성 있는 이점이 확인된 만큼, 골관절염이 있으실 경우 보조치료제로 고려해보실만한 성분이라고 생각됩니다. 더불어 무릎 골관절염 환자 146명을 대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와 콘드로이친황산의 영향을 비교 평가한 Morreale와 연구자들(1996)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효과는 즉각적이고 명백했으나 복용 중단시에는 영향이 사라지는 데 비해, 콘드로이친황산 섭취군에서는 증상의 개선은 느리게 나타났으나 섭취 중단 후 최대 3개월동안 개선된 수준이 유지되었음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8]. 이런 점을 고려했을 때, 콘드로이친황산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효과보다는 보조치료제로서의 장기적인 영향력을 기대해보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더불어, 오늘 소개해드린 모든 인체적용시험은 콘드로이친이 아닌 ‘콘드로이친황산’을 처치한 시험이오니, 제품을 구매하실 때에는 ‘콘드로이친황산’을 함유한 기능성 원료인지 반드시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뮤코다당·단백'은 콘드로이친황산의 함량이 검증된 기능성 원료이므로, 기능성 원료명에 '뮤코다당·단백'이 적혀 있는지 보시면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몸도 마음도 건강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이상 Jinny였습니다. |
[1]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생화학백과 <콘드로이틴황산염> [2] Uebelhart, D. (2008). Clinical review of chondroitin sulfate in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16, S19-S21. [3,4]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골관절염> [5] Honvo, G., Bruyere, O., Geerinck, A., Veronese, N., & Reginster, J. Y. (2019). Efficacy of chondroitin sulfat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exploring inconsistencies in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Advances in therapy, 36(5), 1085-1099. [6] Hochberg, M. C., & Clegg, D. O. (2008). Potential effects of chondroitin sulfate on joint swelling: a GAIT report.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16, S22-S24. [7] Uebelhart, D., Eugene, J. M. T., Delmas, P. D., Chantraine, A., & Vignon, E. (1998). Effects of oral chondroitin sulfate on the progression of knee osteoarthritis: a pilot study.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6, 39-46. [8] Morreale, P., Manopulo, R., Galati, M., Boccanera, L., Saponati, G., & Bocchi, L. (1996). Comparison of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chondroitin sulfate and diclofenac sodium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23(8), 1385-1391. |
|
의견 더하기